본문 바로가기
게임/돈스타브투게더

[굶지마/돈스타브투게더] 겨울나기

by benibecan 2024. 11. 8.
728x90
반응형

돈스타브투게더  겨울나기 표지

 

 

 

 

돈스타브투게더의 사계절 중에서 춥고
정신 오락가락하기 쉬운 바로 그 계절..

겨울나기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.
 
지난 시간에는 가을나기에 대해서 알아봤었죠?
가을은 그저 평화, 안전, 준비의 계절이었는데요.
 

행복한 계절 ^ㅡ^.. LOVE

 

가을이 날씨 좋고 탐험하기 좋은 겨울 준비의 계절이었다면,
겨울은 혹한의 계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.
 
겨울 마지막에 등장하는 외눈사슴은 공포스럽고
영하로 떨어지는 온도 덕분에 추워서 작물이 자라지도 않고
낮은 무척이나 짧고 밤은 무척이나 길죠.
 

하염없이 춥다..^^..

 
너무 춥고 어두운 겨울을 어떻게 하면 잘 견딜 수 있을까요?
 
지금부터 혹한의 계절 겨울을 나기 위해
알아야 할 겨울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겨울나기

 
 
*해당 이미지 공유 시,
본 게시물 링크를 함께 공유해 주세요.

돈스타브투게더  겨울나기

 

 

굶지마 겨울계절의 특징은 너무 춥다는 점인데요.
춥고 밤이 길어서 작물이 안 자랍니다.
 

날씨 : 꽁꽁 얼릴게
작물 : 안 자랄게
해 : 안 나갈게

 
겨울에 내리는 비는 눈으로 판정되며
지형에 나타나는 길을 가립니다.
 

눈 : 길 가릴게
나 : 천천히 갈게

 

계속해서 언급하는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는
따뜻하게 데운 열석을 챙겨야 하는데요.

주의하실 점은 열석은 정말 금방 식기 때문에
따뜻한 체온을 유지하는 걸 도와주는 의복까지 갖춰주시면
따뜻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옷을 입는다고 따뜻해지는 건 아니라고 하네요?
유지만 돕는다니!

 
겨울에 등장하는 맥터스크라는 몬스터는
맵에 표시된 이글루 근처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요.

일단 발견하시면 멀어지지 마시고 최대한 붙어서
처지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.

멀어지면 뭘 아프게 엄청 쏴요..

 
맥터스크를 잡으면 태머섄터라는 모자를 드롭하는데
해당 모자는 종결급으로 취급되는 모자입니다.
 
적당한 방한력과 높은 정신력 회복을 갖춘 모자로
구할 수 있다면 구하는 게 좋아요.

한 번 획득하면 수선해서 계속 쓰면 되니까
겨울이 오면 무장하고 가서 처치하시는 걸 추천합니다.
 

토끼를 제외한  동물들이 보이지 않으니
토끼를 잡아서 식량을 수급하시길 바랍니다.
 

겨울 마지막에 나타나는 외눈사슴 보스를 회피하기 위해
모든 플레이어가 동굴로 도망가는 방법도 있는데요.

개인적으로는 도망가지 마시고
준비를 철저하게 해서 잡는 걸 추천드려요.

왜냐하면, 외눈사슴을 처치하면 눈모자를 만들 수 있는
눈알을 드롭하기 때문입니다.

눈모자는 방수효과가 좋기 때문에 봄을 위해서라면
꼭 하나쯤 얻어 놓으시길 바랍니다.

물론, 외눈사슴을 잡는 게 쉽지는 않지만
하운드에게서 얻은 이빨로 덫을 만들어서 설치도 하고
비팔로 무리나 펭귄에게 어그로 토스도 하면서
사냥하신다면 할 만하다고 느끼실에요

체력을 채워주는 음식도 잔뜩 만들어서
드시면서 싸우면 정말 가능성이 보여요!

밤에 찾아오니까 불 설치도 몇 개 해 놓으시면
정신력이나 체온이 그렇게 떨어지진 않을 거예요.
 

아자아자 화이팅!

 
여기까지 굶지마 겨울나기에 대한 포스팅입니다.
참고하셔서 즐거운 굶지 마하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관련된 다른 게시물

 

 

 

 

 

[굶지마/돈스타브투게더] 가을나기

돈스타브투게더의 사계절 중에서가을나기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. 지난 시간에는 여름나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여름은 과열, 지진, 산불 등 그저 지옥.. 제발 오지마  그렇다면 가을은 어

benibecan.tistory.com

 

[굶지마/돈스타브투게더] 여름나기

돈스타브투게더의 사계절 중에서 여름나기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. 지난 시간에는 봄나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 봄은 잦은 비와 번개.. 그리고 개구리비 비팔로 짝짓기와 토끼굴 영업 안 함

benibecan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